필요로 하시는 복지, 정부에서 시행 중인 지원 사업 자격 요건 중 가장 많은 조건으로 알려진 중위소득을 가지고 지원 대상인지를 판별합니다. 본인 및 가구의 인원수에 따른 중위소득을 확인하여, 많은 지원 사업 중 본인이 참여 대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중요한 중위소들을 확인하고, 중위 소득별 수급 가능한 생계급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2023년 기준 중위소득
-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국민들을 100명이라고 가정하여 소득 순으로 100명을 나열하여 중간인 50번째 사람의 소득으로 기준 중위소득을 측정한다. 중위소득의 퍼센트로 수급의 대상의 기준을 정하고 판별한다.
기준 중위소득% |
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
기준 중위소득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
30% *생계급여 수급 기준 |
623,368 | 1,036,846 | 1,330,445 | 1,620,289 | 1,899,206 | 2,168,394 |
40% *의료급여 수급 기준 |
831,157 | 1,382,462 | 1,773,926 | 2,160,386 | 2,532,275 | 2,891,192 |
47% *주거급여 수급 기준 |
976,609 | 1,624,393 | 2,084,363 | 2,538,453 | 2,975,423 | 3,397,151 |
50% *교육급여 수급 기준 |
1,038,946 | 1,728,077 | 2,217,408 | 2,700,482 | 3,165,344 | 3,613,900 |
60% | 1,246,735 | 2,073,693 | 2,660,890 | 3,240,578 | 3,798,413 | 4,336,789 |
80% | 1,662,314 | 2,764,924 | 3,547,853 | 4,320,771 | 5,064,550 | 5,782,385 |
100%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
120% | 2,493,470 | 4,147,386 | 5,321,779 | 6,481,157 | 7,596,826 | 8,673,577 |
기준별 지원급여
- 생계 급여
생활이 어려운 생계급여 수급자 중위소득 30% 미민인 분들을 일상생활에 필요한 급여를 지급하여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 중인 급여입니다.
- 의료 급여
저소득층 국민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에, 중위소득 40% 미만인 인분들에 대하여 의료비를 지급하며, 국민 보건 향상과 사회 복지 증진을 위한 급여입니다.
- 주거 급여
타인의 주택 등에서 거주하면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, 임차료를 지불하는 중위소득 47% 미만인 분들을 위한 급여입니다.
- 교육 급여
빈곤층 교육비 부담 및 실질적인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해 기준 중위소득 50% 미만인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급여입니다.
오늘은 여러 복지, 지원금 대상을 선정할 때 주로 이용되는 중위소득을 알아보았습니다. 자신에게 필요한 복지, 지원금을 지원하고 얼마인지도 모르는 중위소득 때문에 부적격 판정이 날 수도 있습니다. 그럼으로 미리 자신의 중위소득은 파악하고 신청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를 알고 있는 것도 나중에 있을 지원금, 복지 신청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많은 분들에게 생소한 중위소득을 알아보았습니다. 이젠 이 중위소득을 적용시킬 수 있는 많은 정부 사업 제가 알려 드리겠습니다. 좋은 정보를 받아보시고 싶으신 분들은 제 블로그를 즐겨찾기 해주시면, 더욱 빠르게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